경상북도

경북축산기술연구소, 한우농가에 우수 수정란 무상공급- 11일 축산물품질평가원과 한우 개량 가속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 도축난소 활용한 체외 수정란생산․공급으로 지역 한우개량 가속화

영천시민신문기자 2022. 4. 12. 14:30
반응형

경상북도는 축산물품질평가원 대구경북지원(지원장 김병도)11일 축산기술연구소 회의실에서 지역 한우사육농가에 우수 수정란 무상공급을 위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업무협약은 도축된 암소 중 도체성적 및 후대성적이 우수한 개체에서 채취한 난자를 활용해 체외수정란을 생산해 지역 한우사육농가에 무상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됐다.

 

축산기술연구소가 보유한 우수한 체외배양기술 및 수정란 생산기술과 축산물품질평가원의 등급판정 정보, 개체정보 데이터를 이용해 유휴자원인 도축암소를 활용생산한 우수 수정란으로 지역 한우개량과 농가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품질평가원은 도축된 암소가 2대 이상의 혈통기록이 있고 자질이 우수한 개체를 대상으로 도축난소를 1차 선발하고, 1차 선발된 도축암소의 등급판정결과를 제공받아 능력이 우수한 개체를 수정란 생산을 위한 공란우로 선정(도축암소 소유주에게 공란우 활용 동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축산기술연구소는 체외수정을 통해 수정란을 생산하고 연구소 공급기준에 따라 도내 한우사육농가에 무상 공급, 수정란 공급 후 수태율 및 분만율을 조사하게 된다.

 

이후 양 기관은 수정란 이식으로 생산된 송아지의 친자확인 및 도축성적을 조사하는 등 경북 축산업 발전을 위해 공동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축산기술연구소는 지난 2017년부터 한우개량 및 증식을 위해 매년 약 600여 개의 수정란을 생산해 지역 한우사육 농가에 공급·이식해 왔다.

 

연구소가 보유한 암소 중 유전능력 상위 20%이상의 고능력 한우 암소를 공란우로 활용해 생체내 난자채취법(OPU)으로 생산되는 우량 수정란과 이동식 배양실험실 차량을 활용해 한우사육농가를 직접 방문하며 다양한 유전자원을 생산·공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생산된 수정란은 농가에서 보유 중인 상대적으로 유전능력이 떨어지는 대리모에 이식해 송아지를 생산하게 되며, 농가에서는 우량 암소를 확보하지 않고도 우수한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개량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많은 한우농가에서 가장 선호하고 있다.

 

남진희 축산기술연구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유전능력이 우수한 수정란을 보다 많은 농가에 보급해 경북 축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용어정리 및 참고사항

 

도축되는 난소를 이용한 체외수정란 생산의 한계는?

도축장에서 도축되는 암소의 난자는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개체관리가 어려워 다른 개체의 난자들과 뒤섞일 수 있어 활용이 어려웠으며 농가에 공급되더라도 친자의 불일치성에 대한 위험이 항상 존재했다. 하지만 축산물품질평가원과 협력을 통해 체계적인 개체관리로 뒤섞임 위험을 줄이고,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엄선된 난자의 선별로 신뢰할 수 있는 수정란의 농가 공급이 기대된다.

 

OPU 수정란(Ovum Pick-UP), 직접난자채취)?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소의 난소에 직접 주사침을 찔러서 미성숙 난자(=Oocyte, 초기원시 난포)를 채취하는 기법으로 채취된 원시난포는 실험실내 배양 후 체외수정으로 최종 양질의 수정란을 생산하게 되고 다른 소에게 이식하여 개량된 송아지를 생산하는 기술을 말한다.

 

농가방문형 OPU 난자 채취란?

수정란 배양시스템이 장착된 이동식 실험실을 차량을 사용하여 농가에서 직접 난자를 채취함으로써 공란우 수송에 대한 농가 피해(체중감소, 번식능려 저하 등)를 해소함과 동시에 수정란 품질을 저해하는 요소를 최소화한 신기술. 일반적으로 OPU 수정란은 수정란을 생산하는 기관(사업체 등)보유 암소 또는 농가에서 사육 중인 암소를 수정란 생산기관에 입식 한 후에 수정란을 생산·공급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보편적인 방법의 단점으로는 이동에 따른 체중감소, 번식능력 저하 등의 수송 스트레스와 수송 중 사고 위험, 위탁사양관리비 지출과 질병문제 등이 있다.

 

 

 

반응형